– 황호경 교수님 수술 기준, 보호자 입장에서 기록한 생생한 경험 –
이번에는 췌장암 진단 부터 수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갑작스런 진단, 빠른 결정이 필요했던 시기
2025년 1월 5일, 어머니는 평소처럼 건강검진을 받으셨고, 그 결과는 ‘췌장암 의심 소견’이었습니다.
가족 모두 충격에 빠졌고, 서둘러 병원을 알아보다가 세브란스병원 췌담도외과 황호경 교수님께 진료를 예약하게 되었습니다.
1월 8일, 처음 진료를 받은 후 CT 및 PET-CT 검사를 빠르게 진행했고, 1월 22일 재진료를 통해 췌장 꼬리(미부) 부위에 위치한 종양에 대한 수술 가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문제는 황호경 교수님의 정규 수술 일정이 2달 이상 대기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정규 일정 말고, 수술 대기 걸어서 진행하죠”
– 교수님의 배려로 빠르게 수술 가능했던 순간
당시 교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가능하면 수술을 빨리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규 수술 일정으로는 시간이 너무 걸리니, 제 수술날은 아니지만 수술과 수술 사이에 대기 걸어두고 진행하겠습니다.”
이 말씀에 얼마나 큰 감동을 받았는지 모릅니다.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진행이 빠른 암이라, 하루라도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교수님의 빠른 판단과 배려는 정말 감사한 결정이었습니다.
입원과 수술 – 원위부췌장미부비장절제술
2월 9일 입원
2월 11일 수술 진행 (원위부췌장미부비장절제술)
수술은 오전 10시경에 시작되었고, 안내받기로는 약 3~4시간 정도 소요될 예정이었습니다.
저는 본관 3층 대기 공간에서 조용히 기도하며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수술이 시작된 지 약 3시간쯤 되었을 무렵,
수술실에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보호자분, 지금 수술실 앞으로 와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순간 심장이 철렁 내려앉았습니다. 무슨 일이 생긴 건 아닐까 걱정되며 정신없이 달려갔습니다.
수술실 앞엔 별도의 대기 공간이 없어 병동이나 주변에서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전화 한 통에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였습니다.
도착하자마자 황호경 교수님께서 직접 나오셔서 상황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교수님은 당시 심한 감기에 걸리셔서 목소리조차 거의 나오지 않으셨는데도,
저에게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 주시려 애쓰셨습니다.
“수술은 잘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장과 유착이 심해서 개복을 할지 고민했지만, 다행히 잘 떼어져서 그대로 복강경으로 진행했습니다.
전이 소견도 없습니다. 수술은 잘 마무리되었습니다.”
감기 기운에 힘겨워 보이시는 목소리였지만, 그 안에 담긴 진심과 책임감에 깊이 감동했습니다.
수술실 안에서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셨을지, 그리고 그 어려운 수술을 끝내고 직접 보호자를 안심시키려 하셨다는 점에서 참된 의사의 모습을 느꼈습니다.
퇴원과 경과 확인 – 수술 결과는 "림프절 전이 없음, 2기 판정"
2월 18일 퇴원
2월 26일 CT 촬영
2월 28일 진료 (황호경 교수님)
회복은 빠른 편이었습니다. 수술 후 약 일주일만인 2월 18일 퇴원했고,
2월 26일 CT 촬영 후 2월 28일 황호경 교수님과의 진료에서 최종 수술 결과를 들었습니다.
림프절 전이 없음, 병기 최종 2기.
가장 우려했던 전이 소견이 없다는 말에 마음이 놓였고,
수술을 가장 좋은 시점에, 가장 정확하게 해주신 의료진께 다시 한번 감사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항암 치료 시작 – 폴피리녹스 12회 예정
수술 후 종양내과 이충근 교수님과 상의하여
폴피리녹스(FOLFIRINOX) 항암 치료 12회를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3월 20일 1차 항암 시작
현재까지 5차 진행 중
부작용은 생각보다 강했습니다.
식욕 저하, 구토, 무기력감 등이 반복되었고, 하루하루가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머니는 의지가 강하시고, 보호자인 저도 무너지지 않기 위해 버티고 있습니다.
보호자의 입장에서 전하는 진심
이번 경험을 통해 제가 느낀 가장 큰 교훈은,
좋은 의료진을 만나는 것이 곧 치료의 반이라는 것이었습니다.
황호경 교수님은 정규 수술 일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진심으로 환자 상태를 우선해 빠른 수술을 결정해주셨고,
수술 중 어려운 상황이 생겨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복강경으로 완수하셨습니다.
수술 이후 감기로 힘든 몸 상태에서도 보호자에게 직접 설명해주신 장면은
저에게 평생 잊지 못할 감사의 기억으로 남았습니다.
앞으로의 여정과 기록의 의미
췌장암은 수술로 끝나지 않는 긴 여정입니다.
수술 + 항암 + 정기 검사 + 재활과 회복
이 모든 것을 묵묵히 견뎌야 하는 긴 싸움이지만, 지금까지 잘 이겨냈듯 앞으로도 그렇게 걸어가려 합니다.
이 글은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누군가에게,
그리고 세브란스에서 황호경 교수님께 수술을 고민 중인 분들께
진심 어린 경험담이자 작은 희망의 메시지가 되길 바랍니다.
“빠른 판단, 정확한 수술, 그리고 따뜻한 설명.”
그 모든 것을 갖춘 의료진이 있기에, 우리는 두려운 상황에서도 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치료도 쉽지 않겠지만,
이제는 믿고 갈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큰 위안이 됩니다.